공정임금 설계

워크플랜은 일과 사람의 균형을 추구합니다

공정임금 설계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대안으로 직무급이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직무급을 너무 어렵게 생각해서인지 이를 시도하는 회사가 많지 않습니다. 워크플랜은 직무급 도입단계를 간소화하여 직무급이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l

성공적인 직무급 도입을 위해서
사업 → 사람 → 직무에서 사업 → 직무 → 사람으로 구조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Process

준비

직무분류

판단

직무평가

적용

직무테이블 설계

Step 1. 직무분류

직무분석부터 시작한 프로젝트가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하고 희지부지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분석의 주체인 구성원들이 분석 과정 및 결과를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직무분류는 유사한 직무들 중에서 개별 직무를 구분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분류, 분할, 병합, 네이밍 등을 작업만 거치면 ‘직무평가 대상’을 확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동네 빵집의 사례로 살펴보겠습니다.

<동네 빵집의 사례>
동네 빵집에 가면 직원이 각자 맡은 일을 열심히 수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동료가 결근을 하거나, 일이 바쁠 때에는 다른 일을 할 때도 있지만 본인이 부여받은 고유업무를
‘직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직무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빵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관찰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제빵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작은 빵집은 이 모든 과정은 1명이 담당하는데, 이를 명명하여 ‘제빵’이라는 직무명을 만들 수 있습니다. 조금 규모가 큰 빵집은 전 공정과 후 공정을 구분하여, ‘반죽’과 ‘제빵’이라는 직무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직원들의 업무 수행과정을 지켜보면 1인 이상이 담당하는 직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리동네 빵집 직무분류 예시>
1. 제빵
제빵장, 제빵사, 반죽
2. 서비스
데코, 진열/포장, 음료, 카운터

Step 2. 직무평가

직무급 설계 시 가장 중요한 단계로 아래의 내용를 정해야 합니다.

(평가자)
창업 시에는 경영자가 정할 수 있으나, 직무급제로 변경 시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중요합니다.
경영진 – 리더급 – 구성원 – 외부전문가 등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평가기준)
국내외 기관에서 다양한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있기에, 이를 참고하여 평가기준을 선정하고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직무평가 점수표 예시]

< 출처: 고용노동부 ‘직무중심 인사관리 따라잡기’ >

개별 직무에 대한 평가요소별 수준 평가를 통해서 점수를 책정하고 평가자별 평가점수를 취합합니다.
평가자가 직무내용을 모르고 평가할 수 없기에 직무 정보를 충분히 공유해 주세요.
개별 직무수준에 대해서 논의하되, 반드시 합의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평가자 각자의 판단에
맡기면 됩니다.

<Output>

Step 3. 직무급테이블 설계

직무평가 점수의 분포를 감안하여 직무등급 수를 결정합니다.
기준직무의 시장임금 수준, 최소값, 최고값을 정한 후 등급별 임금값을 부여합니다.

l

구성원이 회사에 들어올 때는 사람 인(人)을 평가하고, 근무 중에 업무 사(事)를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