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규칙 제작소
워크플랜은 일과 사람의 균형을 추구합니다
취업규칙 제작소
취업규칙의 중요성
갈등이나 분쟁 발생 시에 “법과 원칙에 따라서 처리하겠다” 라는 말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法은 알겠는데, 原則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우리 회사에는 어떠한 원칙이 있나요?
조직 내에서 구성원과 사용자의 관계에 대한 원칙을 취업규칙이라고 합니다.

<취업규칙의 구성>
대부분 평소에는 취업규칙에 무관심하지만 예외적 상황이나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취업규칙을 찾게됩니다.
취업규칙의 내용에 따라서 사건 처리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개별 회사(업종, 규모, 경영진, 조직문화 등)에 맞는
취업규칙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취업규칙은 구성원과의 약속이기에 신중하게 작성해야 하고, 관련 법령이 개정되면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또한, 취업규칙 내용을 구성원과 공유하고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는 것도 잊지마세요!!

<취업규칙의 적용>
취업규칙이란 다수의 구성원에게 적용되는 근로관계에 관한 사항을
집단적 일률적으로 규율하기 위하여 정하는 준칙
집단적 일률적으로 규율하기 위하여 정하는 준칙
설계 프로세스
워크플랜은 15년 이상 축적된 관련 경험을 바탕한 ‘취업규칙 작성 toolkit’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쟁점 이슈사항을 중심으로 ‘경영진 + 인사담당자 + 구성원 + 노무사’가 함께 참여하고 합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서비스 유형 및 비용
구분 | 표준형 | 특화형 | 통합형 |
내용 | 필수기재사항 등 법령상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함 | 인권경영, ESG, 가족친화 등 회사의 고유한 가치 및 조직문화를 반영함 | 인사규정, 복무규정 등 부속규정을 포함하여 사규형태로 작성 |
기간 | 1주 | 3주 | 4주 이상 |
비용 (VAT 별도) | 100만원 | 300만원 | 별도 협의 |
대상 | 중소기업 | 중견기업 | 기업 공개 |
표준화 문서는 그만,
이제는 합의형(Interactive) 문서를 만들어야 한다.
이제는 합의형(Interactive) 문서를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