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입사 퇴사 시에는 일할계산 방법을, 1일 결근 시에는 일급계산 방법을 추천드렸습니다.

오늘은 추가 질문 중 하나인 1주일 이상 장기간 결근 시 어떤 방법이 나은지에 대해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월급 350만원 노동자가 3/6 ~ 16까지 9일(역일로 11일) 결근한 경우에 일할계산 및 일급계산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일급계산 시 주휴수당 2일분 미반영 등의 이유로 금액이 더 적게 산정되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계산 내역을 캘린더에 표시해 보겠습니다. 

[일할계산 방법] 총 31일 중 11일 분만 미지급

[일급계산 방법] 총 26일 중 11일분 미지급

위 내용을 보다 간소한 이미지로 그려보면, 차이가 보다 분명해집니다.

[일할계산 방법]

[일급계산 방법]

이와 같이 일할계산 방법이 노동자에게 보다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떤 방법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법적으로 정해지지 않았기에 회사의 규정에 따라서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시 생각해 보면, 10일 가까이 결근하는 경우는 흔치가 않습니다. 대부분은 무급휴가나 휴직인 경우가 많습니다. 위 내용 및 제 경험을 종합하여 아래와 같이 처리하는 방안을 추천 드립니다.

휴직 : 일할계산이 적합(상당수 회사의 사규에서 규정)

무급휴가 : 가족돌봄휴가 등 무급휴가는 일급계산이 적합. 단, 주휴수당은 1주간 전부 휴가인 경우만 제외(사례에서 1일만)

결근 : (-)휴가나 무급휴가가 인정되는 않는 특수한 경우로 일급계산이 적합함

복잡하고 어려운 일할계산, 일급계산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